[태그:] 교육

  • 조선시대 유모

    조선 시대 왕의 유모는 봉보부인이라는 종1품 벼슬을 받았다. 왕비가 왕자를 낳기는 했지만, 왕자를 기르는 것은 유모의 책임이었다. 즉 훗날 ‘왕’이 될 사람을 가장 가까이에서 보필하는 것이 유모였다. 왕자가 건강하게 자라서 왕이 된다면 유모의 공은 이루 말할 수 없이 큰 것이었다. 그만큼 유모의 지위는 높았다. 왕자의 보양과 장래를 위해 유모를 함부로 대할 수 없는 노릇이었다. 심지어…

  • 조선시대 왕자의 교육

    조선의 왕자들은 보통 밤 11시에 잠들어서 새벽 4시에 일어났다. 하루에 5시간에서 적게는 2시간 밖에 잠을 자지 않았다. 그 밖의 주요한 시간에는 일정에 맞추어 하루도 빠짐없이 공부를 해야만 했다. 서연(공부)은 아침학습, 정오학습, 저녁학습, 야간학습 (조강, 주강, 석강, 야대) 등 하루에 5번 실시한다. 유교경전과 역사서를 읽고 토론을 해야하며 정기적으로 시험을 보아 통과해야 했다. 출처: 도현신, 『왕가의 전인적…

  • 유대인의 유월절 식사 문답

    유월절 식사 중 가장 중요한 사항은 출애굽사건을 재현하여 이야기 하는 것이다. 이야기는 아이들의 질문에 대한 아버지(인도자)의 답변의 형식을 따른다. 전통에 따라 가장 어린 자녀부터 네 개의 질문을 던진다. 성경이 출애굽기에서 세번, 신명기에서 한 번 모두 네 번 아버지는 반드시 그의 자녀들에게 출애굽에 관한 이야기를 해주라고 명령하기 때문이다 (출 12:26; 13:8; 13:14; 신 6:20). 이 질문들은…

  • 유대인의 교육방법

    첫째, 이야기식 교육방법이다. 유대인들은 아이가 강보에 싸여 있을 때부터 하나님의 이야기를 들려주었다. 그것은 어린이들에게 하나님과 토라의 이미지를 동시에 심어주기 위해서이다. 부모들이 자녀들에게 성서를 통해 교훈을 들려 주어야 할 의무가 있었음을 보여준다. 출애굽 사건과 하나님에 대한 경외심 등 이스라엘 초기에 있었던 과거 추억을 아이에게 들려주어야 했다 (중략) 둘째, 반복과 암송의 교육방법이다. 유대인의 교육방법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는…

  • 웨슬리의 기독교 자녀교육 원칙

    웨슬리는 하나님 섬기기를 가르치는 방법에 있어서 4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한다. 즉 1) 초기에(아주 어려서부터), 2)쉽고 평범하게, 3) 자주, 그리고 4)참을성있게 자녀들을 교육하기에 노력해야 할 것을 주장한다. 출처: 오성주, 기독교적 가정 종교교육에 대하여, 감리교신학대학교, 신학과세계 51, 2004.12)